[개인 클러스터 구축] vultr kubernetes
- advanced/Devops
- 2023. 1. 24.
k8s 서버 띄우기
공부 목적으로 서버를 띄우고 구성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EC2같은 곳에는 하나하나 접속해서 배포하고 하는 과정이 복잡한 것 같아서
배포 과정 단순화를 위해서 kubernetes cluster를 사용하고 싶었고, kubernetes 관련 지식은 있는 상태였습니다.
(6개월 정도의 짧은 kubernetes 운용 경험 + CKAD, CKA 자격증)
공부목적의 운영인데 과도한 비용 - 월 10만원
aws나 gcp를 이용해서 구축을 하게 되면 master node 관리에 필요한 비용만 하더라도 월 8만원 정도 나가는 상태이기 때문에, 너무 비싸다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저것 하면 공부 목적으로 운영하는 클러스터인데 월 10만원씩 나가는 셈이기 때문에 너무 지출이 크다고 생각했습니다.
VULTR - 저렴한 가격으로 가능(대략 월 4만원)
그래서 대안으로 vultr를 알게 되었고, cluster에 대한 관리 비용을 별도로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진행 과정
1. vultr kubernetes 클러스터 구매
2. kubectl 설치를 위해서 chocolately 설치(노트북이 windows 였기 때문에)
3. kubernetes 관리를 위해서 kubectl 설치
4. kubectl의 alias 설정(영구적인 설정은 아니고 command 창이 꺼질 때까지 적용됨)
doskey k=kubectl $*
VKE(Vultr Kubernetes Engine)이 Managed Kubernetes Service라서
별도로 control plane을 구축할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s
https://www.vultr.com/docs/deploy-a-kubernetes-cluster-on-ubuntu-20-04/
'advanced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개발용 도구 - dev space (0) | 2023.02.27 |
---|---|
[개인 클러스터 구축] LoadBalancer를 Vultr IP에 연결 (0) | 2023.01.24 |
[kubernetes] CKA & CKAD 공부내용 정리 (0) | 2022.11.24 |
[kubernetes] worker node의 ip가 바뀐 경우 해결 방법 (0) | 2022.09.20 |
[kubeadm & helm] CNI(calico) & jenkins 설치 (0) | 2022.09.20 |